본문 바로가기
코드스테이츠 PMB Daily

[코드스테이츠 PMB 15] W6D3 서울 1인 가구 통계 데이터 분석

by 애플맹고 2022. 11. 23.
반응형

1. 서울시 1인 가구 통계(2021)

서울에 사는 1인 가구로서 1인 가구 통계를 분석해보고 싶었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https://data.seoul.go.kr/)에서 '서울시 1인 가구(연령별) 통계'를 다운받아 진행하였다.

 

열린데이터광장 메인

데이터분류,데이터검색,데이터활용

data.seoul.go.kr

서울시 1인 가구(연령별) 통계 데이터

 


2. 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측 가능한 가설 세 가지 설정

위 데이터에서 구분 기준은 자치구, 연령대(20세 미만, 20세부터는 5세 구간별로 나눔), 성별로 나누어 서울시의 1인 가구 수를 정리한 데이터이다.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측 가능한 가설을 세 가지 떠올리고 각각의 이유를 정리해보았다.

(1) 20~30대 1인 가구 중에 회사 밀집지역 자치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

직주 근접의 이슈로 회사 밀집지역(강남구, 영등포구, 중구)의 1인 가구 비율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회사 밀집 지역'의 정의는 회사 소재지를 기준으로 많은 수 상위 세 자치구를 정할 것이다.

(2) 60대 이상 1인 가구는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낮을 것이다.

위 데이터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는 않지만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일수록 주거 비용(월세)이 비싸게 느껴졌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60대 이상의 연령층은 회사 재직율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으므로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낮을 것으로 추측했다.

(3) 30대 이상 1인 가구의 수는 점차 감소할 것이다.

국내 평균 결혼 연령이 30대이므로 결혼을 본격적으로 하는 30대 이상 1인 가구의 수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생각했다.

 


3. 위 가설을 검증할 지표

(1) 20~30대 1인 가구 중에 회사 밀집지역 자치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다.

  • 검증할 지표: 각 자치구별 1인 가구 연령 비율 중 '20세 이상 39세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을 각 자치구별로 계산한 뒤 해당값을 내림차순으로 정리했을 때, 위에서 정리한 회사 밀집지역(강남구, 영등포구, 중구)가 1~3 순위에 해당하는지 검증
  • 시각화 설계: 가로축은 '자치구'(25개), 세로축은 '해당 구 전체 1인 가구 수 중 20~30대 1인 가구 비율(%)'로 나타낸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2) 60대 이상 1인 가구일수록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에 거주하는 비율이 낮을 것이다.

  • 검증할 지표: 각 자치구별 1인 가구 연령 비율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을 각 자치구별로 계산한 뒤 해당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리했을 때,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의 값이 1~3순위에 해당하는지 검증(여기서는 오름차순으로 1~3순위에 해당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므로 낮은 비율 상위 1~3순위인지 검증하는 것)
  • 시각화 설계: 가로축은 '자치구'(25개), 세로축은 '해당 구 전체 1인 가구 수 중 60대 1인 가구 비율(%)'로 나타낸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다.

(3) 30대 이상 1인 가구의 수는 점차 감소할 것이다.

  • 검증할 지표: 각 연령 구간별 1인 가구 수 합계를 정리한다. 30대 이상(30~34세 구간 이후) 1인 가구 수가 낮아지는지 검증할 것이다.
  • 시각화 설계: 가로축은 연령 구간별 값을 오름차순으로 배열하고, 세로축은 각 연령 구간별 1인 가구수 총합을 기준으로 꺾은선 그래프로 보여줄 것이다. 그렇게 한다면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의 구간인 '30대 이상 1인 가구'의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4. 추가로 해보고 싶은 검증

위 데이터만으로 추측하기 힘들지만 위 데이터와 연계해서 활용해보고 싶은 가설이 몇 가지 있어서 추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면 검증해보고 싶은 가설을 정리했다.

  1. 1인 가구 비율 중 20~30대 비율이 높을수록 배달 어플리케이션 이용 수가 높을 것이다. (자치구 별 배달 어플리케이션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 또는 주문건 수 데이터 필요)
  2.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보다는 행정동이 더 정확할 듯하다)의 동일 단위면적 당 평균 월세 값이 높을 것이다. (회사뿐만 아니라 교통 인프라가 좋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비 회사 밀집 지역 자치구보다 동일 단위면적 당 평균 월세 값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