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드스테이츠 PMB Daily

[코드스테이츠 PMB 15] W6D1 B마트의 내부 데이터 추측하기

by 애플맹고 2022. 11. 21.
반응형

1. B마트 소개

B마트 이미지(출처=배달의민족 홈페이지)

B마트는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의민족에서 2020년에 출시한 온라인 장보기 서비스이다. 기존의 유통 이커머스 강자인 쿠팡, 쓱닷컴, 네이버쇼핑 등과 다르게 사용자의 위치 기반으로 주변 마트에서 1시간 이내에 배달을 해주는 서비스라는 점을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쿠팡의 '로켓배송'과 마켓컬리의 '샛별배송(새벽배송)'이 이전의 배송 기간을 3일에서 하루로 단축시켰다면, B마트는 그 기간을 1시간 이내로 단축시켜 '퀵커머스' 시장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B마트 매출 추정치(자료=우아한형제들 2020년 개별 감사보고서)

B마트는 1, 2인 가구를 타겟으로 하여 간편식, 생필품 등의 품목을 취급한다. 1, 2인 가구의 증가, 약 2천 만명의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를 가진 배달의민족의 배달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널리 알려지면서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B마트의 구체적인 수치는 우아한형제들에서 공개하지 않아 추정치로 판단, 2020년 우아한형제들 재무제표 상 '상품구입비용' 항목이 B마트와 연관있을 것으로 추정)

 


2. B마트의 주문 고객의 Flow Chart 구성해보기

배민B마트 Flow Chart

B마트를 이용하는 고객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물품을 공급하는 '마트'와 물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로 나눠볼 수 있다. 그 중에 물품을 소비하는 고객의 입장인 '소비자' 측면에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Flow Chart를 구성해보았다.

 

아래에서 상세히 기술할 내용이지만, 각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 관련 내용을 추측하여 위 Flow Chart에 간략하게 적어놓았다.

 


3. B마트 UI, 클라이언트, 서버, DB 추측하기

(1) B마트의 UI

B마트 UI(물품 탐색~결제 단계 전까지)

B마트의 기본적인 UI는 위와 같다. 차례대로 '배민 홈화면', 'B마트 홈화면', 'Best 세부 화면', 'B마트 장바구니 화면', '주문 정보 확인 페이지'이다. 위의 Flow chart 중 '홈화면'부터 '정보 확인'의 UI를 정리하였고, 아래 각 페이지마다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 추측하여 정리해보았다.


(2) 클라이언트, 서버, DB 추측하기

(12월 1일에 추후 보강 예정이라 추측 내용이 미완성인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1) 클라이언트(Front-end)

고객의 위치 정보에 따라 고객이 보는 화면이 다를 것이다. 위에 모아놓은 UI는 서울 모 구에 거주중인 필자가 B마트를 이용할 때 보이는 화면이고, 만약 주문하고자 하는 위치가 다르다면 그에 맞춰 다양한 요소들이 달라질 것이다. 대표적으로 프론트에서 달라질 것들을 추측해서 그 이유와 함께 정리해보았다.

  • 예상 도착 시간: B마트 서비스를 통해 제품을 파는 업체와 배송 주소에 따라 예상 도착 시간이 정해질 것이다. 예상 도착 시간은 제품 공급자의 '예상 준비 시간'과 배달 라이더의 '예상 배송 시간'의 합으로 구성될 것이고, 예상 배송 시간은 도로, 신호 상황 등에 의해 달라질 것이다.
  • 상품 카테고리, 상품 종류: 지역에 따라 마트에서 구비해놓을 수 있는 구체적인 상품 종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주'의 종류는 지역마다 다른 대표적인 상품인데 부산에서는 소주로 '대선'을 구매할 수 있게 뜨지만 서울에서는 '소주'의 기본 상품이 '처음처럼' 또는 '참이슬'로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B마트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협력 매장에 따라 제공하는 상품의 종류가 다를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위치 정보에 따라 화면에 뜨는 데이터가 다를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2) 서버(Back-end) & Database

  • 데이터 간 연계: 로그인 데이터(ID, PW), 설정 위치 값,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결제 수단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화면에 뜰 것이다. 그 중 설정 위치 값은 사용자가 다르게 설정할 수 있지만 그 외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연동되어 있을 것이다.
  • 결제 히스토리: B마트를 처음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위의 UI 화면처럼 '배달팁 0원 혜택' 프로모션 안내 문구가 뜬다. 이는 결제 히스토리에 따라 고객에게 서비스 비용을 차별적으로 부과하는 데이터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고객이 B마트 구매 내역이 발생한다면, 해당 일 +30 Days까지 배달비용을 부과하지 않는 것으로 세팅되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상품 데이터: 고객의 화면에 띄워줄 상품 데이터는 다양한 값을 포함하고 있다. '사진', '상품명', '가격', '별점(소수점 첫째 자리 수까지)', '리뷰수', '카테고리값'을 보여주고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 DB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임의로 적은 결과물이다. 아래 5번 주제로 정리하였다.


4. 참고 자료

1. [넘버스] 논란의 'B마트', '배달의민족'보다 더 무섭게 성장했다, 블로터, 2021.4.3., 문병선 기자,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1040300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