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1 2023년 상반기 네이버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후기 네이버 신입 공채 전형 과정 중 하나인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후기를 작성하려고 한다. 별다른 준비가 필요없다는 사람도 있었지만 정보가 거의 없다보니 준비할 때 막막했던 터라, 정보 공유의 차원에서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를 어떻게 준비했고 개인적인 소감을 작성할 계획이다. 본 포스팅은 2023년 상반기 팀네이버 신입 공채 Service & Business 직군 대상의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후기이므로, 다른 직군의 경우 다를 수도 있습니다. 1.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일정 서류를 제출하면 서류 접수 마감 주의 주말에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가 있다(2023년 상반기 기준). 이번 공채의 경우 4월 15일(토) ~ 4월 16일(일) 이틀 간 응시할 수 있었다. 이번 공채의 경우 기업 문화 적합도 검사 대상.. 2023. 4. 22. SQL 공부 1주차: 기본 문법 학습 들어가며 저번 주에 포스팅 하려고 했으나 '내일 해야지'를 마음 속으로 7번 외치다 보니 본의 아니게 2주차 포스팅을 했었어야 하는 날에 겨우 쓴다. 다짐했던 대로 월, 수, 금요일에 공부는 꾸역꾸역(?) 한 건 스스로 칭찬할만 하지만 이번 주에 SQL 공부 방향성을 잃고 헤맨 건 아쉬웠다. 사실 1주차 공부 내용은 기본 문법 공부한 내용이라 지난 주에 쓸 수 있었는데 '블로그에 글을 알찬 내용으로 구성해야지!' 하다가 뭐가 알차다는 건지 정의조차 못 내리고 한 주를 날려버렸다. SQL 공부를 어떻게 했는지, 무엇을 참고했는지 기록하는 글을 주 1회씩 쓰려고 목표를 변경했다. 왜냐하면 아직도 SQL로 뭘 어떻게 쓸 수 있는지 감을 잡아가는 과정이라서..(=어떤 글을 쓸지 잘 모르겠다는 뜻) 1. 실전 압.. 2023. 4. 21. 서비스 기획자/PM에게 추천하는 뉴스레터 들어가며 일 잘하는 기획자란 어떻게 정의내릴 수 있을까? 질문에 대한 답은 사람마다, 회사마다 제각각 다르게 정의내릴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람과 조직마다 서비스 기획자에게 요구하는 '알잘딱깔센'은 제각각이다 보니 최근에 나만의 기획 역량을 어떻게 쌓을지 고민으로 자연스레 이어지고 있다. 그래서 오늘은 기획자로서 역량을 쌓아가는 방법 중에 뉴스레터 구독 정보에 대한 글을 쓰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기획자를 바라볼 때 기획자는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처럼 보인다. 나도 서비스 기획자로서 발을 들이기 전에는 그런 줄로만 알았다. '어떻게 저렇게 많은 일을 챙기면서도 아이디어가 끊기지 않을까?' 하는 경외로움과 나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일을 잘하는 기획자들은 넘.. 2023. 4. 14. 네이버 회원가입 서비스 개선하기 들어가며 지난번 회원가입 절차 서비스 기획 글을 쓰면서 네이버 회원가입 절차를 살펴봤는데 네이버 회원가입 절차 중 일부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고 판단해서 '네이버 회원가입 서비스 개선'으로 글을 쓰려고 한다. 참고로 네이버 웹과 앱 모두 회원가입 절차와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동일하다. 글 작성의 편의를 위해 네이버 회원가입 화면은 웹 화면을 중심으로 사용했다. 1. 유효성 검사 메시지 네이버 회원가입을 위해서는 아이디, 비밀번호를 비롯해서 총 12가지(본인 확인 이메일 생략 시 11가지)를 입력해야 한다. 얼핏 보기에는 아이디,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등 다른 서비스 회원가입 할 때도 입력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간단한 것 같다. (1) 필수 정보 입력값이 비어있을 경우(Null Case) 그러나.. 2023. 4. 9. 주니어 서비스 기획자의 SQL 독학하기(1주차) 들어가며 서비스 기획자, PM/PO로서 일할 때 SQL을 분석할 줄 아는 게 필수 역량은 아니지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력을 기르려면 결국에는 SQL을 비롯한 데이터 리터러시(literacy)가 있어야 한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SQL을 다룰 줄 안다면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이해하고, 커뮤니케이션이 수월해진다고 한다. 답답하면 내가 뛰는 성격이니까 미리 배워두면 나쁠 건 없겠지 하고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다. 서비스 기획자가 SQL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 기획자 데이먼 님의 유튜브 링크를 참고하면 좋다. https://www.youtube.com/watch?v=mrjlTSsLChE 그래서 4월 한 달 동안 주 1회씩 SQL을 독학하면서 공부 방법과 기록을 블로그에 남겨보려고 한다. 매달(혹.. 2023. 4. 7. 회원가입 서비스 기획 절차 정리 들어가며 대부분의 웹/앱 서비스는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이 존재한다.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넷플릭스 등 일부 서비스는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해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처럼 고객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통과의례(?)처럼 경험하는 회원가입 절차에 대해 분석해보고 싶었다. 여러 서비스의 회원가입 경험을 하면서 불편했던 점, 좋았던 점을 정리하며 회원가입 절차의 이탈률을 낮추고 궁극적으로 사용자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회원가입 절차는 어떤 요소를 고려해서 기획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1. 회원가입 서비스의 일반적인 절차 일반적으로 회원가입을 할 때 경험하는 절차는 위 그림과 같다. 인증, 약관 동의, ID/PW 설정 순서는 서비스마다 다르다. (회원가입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어쨌든 세 단계를 .. 2023. 4. 4. 신입/주니어 서비스 기획자/PM의 글쓰기 목적 신입 서비스 기획자/PM으로서 구직 활동을 하면서 블로그에 꾸준히 글을 올려야겠다는 다짐을 하고 마침내 첫 글을 쓴다. 처음부터 거창하게(?) 시작하려다가 한 글자도 못 쓰고 있다가 드디어 첫 글을 쓴다. 잠깐 다른 얘기지만 글 소재를 정하는 것부터 글의 수준까지 치밀하게 설계하려고 했으나 기획의 'ㄱ'도 잘 모르면서 높은 수준의 글을 쓰려고 하다보니 첫 글이 계속 미뤄지게 되었다. 수학으로 비유하자면 덧셈, 뺄셈도 제대로 복습 안 하면서 '방정식은 어떻게 풀지?' 고민하고 있는 꼴이었던 셈. 몇 주간의 시간을 녹이면서 느낀 교훈은 내 수준에 맞는 고민은 고민으로서 가치가 있을 수 있지만 '내가 결여된 고민'은 그저 시간 낭비일 뿐이었다. (사실 '임시저장' 해놓은 글이 몇 개 있는데 솔직히 스스로 이해.. 2023. 3. 29. [코드스테이츠 PMB 15] W8D3 카카오톡 사용자 스토리와 이해관계자 지난 W8D1 과제(링크)에 이어서 카카오톡 메신저 기능을 고객이 아닌 이해관계자 관점에서 진행하였다. 1. 기능 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요구사항 이해관계자: 프로덕트 개발 과정에 영향을 주거나 받을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이해관계자에는 고객도 필수적으로 포함되지만, 해당 글에서는 고객을 제외한 이해관계자를 나열하고 각자의 역할과 요구사항, 그리고 그 요구사항을 해소할 때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정리했다. (1) CS 담당자 1) 역할 인입되는 고객 불만사항들을 분류하여 카카오톡 메신저 팀으로 전달해준다. 2) 요구사항 고객 불만 사항이 많은 것부터 처리해주세요. 고객 불만 사항 양을 측정하는 시간 단위 정보가 필요하다. 이번 주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불만 사항과 장기적으로(6.. 2023. 1. 3. [코드스테이츠 PMB 15] W8D1 카카오톡 문제점 개선하기 1. 카카오톡 소개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과금 없이 사람들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메신저 앱으로 2010년에 서비스를 시작했다. 자신의 연락처에 있는 사람들을 불러와 카카오톡 메시지를 무료(통신사 데이터 이용료는 별도)로 개수 제한 없이 보낼 수 있다는 점과 단체 채팅방 기능을 통해 국내에서 폭발적으로 이용자가 늘어났으며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 압도적인 무료 메시지 앱 점유율(약 94%, 2018)을 기록하고 있다. 2. 카카오톡의 기능 중 개선할 점 세 가지 (1) 전송된 메시지 수정할 수 없음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내다보면 오타 등의 이유로 메시지를 수정하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나 최신 카카오톡 버전(ver. 3.4.4.3285)에서는 전송된 메시지를 .. 2023. 1. 2. 이전 1 2 3 4 5 다음